하시즈메몬은 1631년(칸에이 8년) 대화재 후에 정비된 니노마루의 정문입니다. 코라이몬 양식의 ‘이치노몬’, 돌담과 2중 담장으로 둘러싸인 ‘마스가타’, 누문(야구라몬) 양식의 ‘니노몬’으로 구성된 마스가타몬으로, 마스가타(누문 안의 평평하고 네모진 땅)는 성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. ‘이시카와몬’, ‘카와키타몬’과 함께 ‘3대문’으로 불리며, 니노마루고텐에 이르는 마지막 문으로서 통행 시에는 3대문 중에서 가장 엄격한 제한이 이뤄졌습니다. 또한 니노몬의 바닥에는 니노마루고텐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도무로 돌을 까는 등 격식 높은 문이었습니다. 1808년(분카 5년)의 니노마루 화재로 소실된 후 1809년(분카 6년)에 재건된 모습을 복원했습니다.
이번 정비에서는 2001년에 복원된 ‘이치노몬’에 이어 ‘니노몬’과 ‘마스가타 2중 담장’을 복원하기로 하고, 2012년 6월에 공사 착공, 2015년 3월에 완성했습니다.
| 1583 | 마에다 토시이에가 카나자와 성주가 됨 |
|---|---|
| 1631 | 칸에이의 대화재 이후 니노마루에 고텐을 조영, 하시즈메몬 창건 |
| 1759 | 호레키의 대화재. 카나자와성의 건물 대부분이 소실. 3대문도 소실 |
| 1762 | 하시즈메몬 재건 |
| 1788 | 하시즈메몬 츠즈키야구라(망루) 재건 |
| 1808 | 분카시대에 발생한 니노마루 화재. 니노마루고텐, 하시즈메몬, 하시즈메몬 츠즈키야구라, 50칸 나가야, 히시야구라(바닥면이 마름모꼴인 망루) 등이 소실. |
| 1809 | 하시즈메몬 재건 |
| 1810 | 니노마루고텐, 히시야구라, 50칸 나가야 재건 |
| 1881 | 실수로 화재가 발생해 니노마루고텐, 하시즈메몬, 50칸 나가야 등이 소실 |
| 2001 | 히시야구라, 50칸 나가야, 하시즈메몬 츠즈키야구라와 함께 하시즈메몬 이치노몬을 복원 |
| 2015 | 하시즈메몬 니노몬, 마스가타 2중 담장을 복원 |
카나자와성 내의 각 울타리를 잇는 성문 중에서 특히 중요했던 ‘이시카와몬’, ‘카와키타몬’, ‘하시즈메몬’을 ‘카나자와성 3대문’이라 부릅니다. ‘이시카와몬’은 호레키의 대화재(1759년) 후 1788년(텐메이 8년)에 재건된 것이 현존하며,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 ‘카와키타몬’은 2010년 4월에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복원되어, 이번에 ‘하시즈메몬’이 완성되면서 ‘3대문’ 전부가 정비되어, 산노마루 일대의 에도시대 후기 경관이 되살아났습니다.
| ‘니노몬’ 2층 면적 비교 | ‘마스가타’ 면적 비교 |
|---|---|
| ①카와키타몬 니노몬…220m2(26.9m×8.2m) | ①카와키타몬…255m2 |
| ②이시카와몬 니노몬…181m2(24.9m×7.3m) | ②이시카와몬…272m2 |
| ③하시즈메몬 니노몬…113m2(14.4m×7.9m) | ③하시즈메몬…445m2 |
※설계도 및 준공도 기준
카나자와성의 돌담에 사용된 돌은 그 대부분이 성의 남동쪽 약 10㎞에 위치한 도무로야마 산 주변에서 나는 도무로 돌을 사용했습니다. 하시즈메몬 마스가타의 돌담은 표면을 공들여 모양을 다듬은 돌을 촘촘하게 쌓아 올리는 절석 쌓기 기법으로 축조했습니다.
미장공사는 초벽토 만들기, 대나무 뼈대 짜기, 초벽칠, 고름질, 재벌칠, 회칠의 각 공정을 거쳐 벽을 마감하고, 공정마다 충분히 건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사 전체의 공정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합니다.
하시즈메몬에는 예부터 내려온 일본의 골조 공법이 쓰였는데, 기둥과 들보 등의 접합 부분에 못 등의 철물을 사용하지 않는 ‘장부 이음’ 공법을 사용했습니다. 사용 목재는 전부 일본 국내산인데, 이 중 약 55%에 노토편백이나 삼나무 등 이시카와현산 목재가 쓰였습니다.
하시즈메의 지붕 마감에는 이시카와몬, 카와키타몬과 마찬가지로 납기와가 사용되었습니다. 명칭은 납기와이지만, 목수가 목판을 기와 모양으로 가공하고, 그 위에 두께 약 1.8mm의 납판을 부착하는 판금공사를 하여 마감합니다. 처마끝 부분의 반원통형 기와에는 카가번 마에다 가문의 문장(紋章)인 매화꽃이 들어가 있습니다.
| 구분 | 니노몬 | 마스가타 2중 담장 | 다시(돌출창) | 이치노몬 | 이치노몬 양옆 흙담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규모 | 건축면적 149.33m2 연면적 136.18m2 |
직각으로 구부러진 부분의 전체 길이 39.44m | 도리칸 2칸, 보칸 2칸 건축면적 10.42m2 |
건축면적 27.7m2 | 전체 길이 15.06m |
| 구조 | 누문 남쪽 박공벽: 이리모야(팔작지붕) 양식 북쪽 박공벽: 하시즈메몬 츠즈키야구라로 연결 |
키리즈마(맞배지붕) 양식 2중 담장 동쪽 흙담 북단부를 츠루노마루 흙담 돌출 총안(銃眼)에 연결 |
맞배지붕 양식 정면 처마 카라하후(박공) 설치 | 코라이몬 | 타이코 담장 |
| 마감 | 망루부 외벽 회칠 납기와 지붕(골기와형 납판 지붕) |
외벽 회벽칠 외부측 아래쪽 벽면 나마코 벽 마감 납기와 지붕(골기와형 납판 지붕) |
납기와 지붕 (골기와형 납판 지붕) |
납기와 지붕 | 외벽 회칠 나마코 벽 마감 납기와 지붕 |
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조사를 실시했는데, 발굴조사에서는 니노몬 북쪽 와키바시라(옆 기둥) 열의 기초다짐, 석제 암거 등의 유구를 확인했고, 츠즈키야구라다이(망대) 돌담 조사에서는 니노몬 소에바시라(곁기둥)의 중심 위치를 표시한 ‘끌로 판 흔적’, 바닥에 돌을 깐 흔적 등을 확인했습니다.
이로써 1809년(분카 6년)에 재건된 니노몬의 경간(기둥과 기둥 사이) 치수 및 부석면(敷石面)의 표고 등이 파악되어, 복원에 활용되었습니다.
발굴 조사중인 하시즈메몬 (2012)
츠즈키야구라다이 아래쪽에서 확인된 ‘기초다짐’, ‘돌 암거’ 등
소에바시라(곁기둥)의 중심을 표시한
‘끌로 판 흔적’
바닥에 돌을 깐 흔적
카나자와성에 관한 그림 지도는 수많이 현존하며, 지금까지 복원정비에 중요한 자료가 되어 왔습니다.
하시즈메몬과 관련해서도 에도시대 후기의 모습을 상세히 그린 평면도와 입면도가 여러 점 있으며, 설계 시의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.
문헌의 경우 분카 재건기의 조영봉행 타카바타케 아츠사다가 쓴 「어조영방일병기」 등에 기록된 내용을 복원 근거로 삼았습니다.
하시즈메고몬 등 그림 지도-3. 하시즈메 니노고몬 지도
(카나자와 시립 타마가와 도서관 소장)
어성중일분기회도
(요코야마 타카아키 가문 소장)
어조영방일병기
(카나자와 시립 타마가와 도서관 소장)
메이지시대 초기의 하시즈메몬과 츠즈키야구라
(이시카와 현립 역사박물관 소장)